기사 메일전송
‘충청북도 1인가구 현황’조사결과 발표
  • 박준상 기자
  • 등록 2021-05-17 17:33:32
  • 수정 2022-03-25 14:58:07

기사수정



충북종합사회복지센터(센터장 이화정)는 ’2021년 충청북도 1인가구 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충북의 1인 가구를 위한 서비스 개발과 정책방향 활용을 위해 1인가구 비중과 추이, 충북고령가구의 특징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2019년 기준 충북의 고령자 1인가구 비율은 전국보다 1.3% 높은 8.8%, 충북의 고령자 1인가구의 주거형태는 단독주택(59.7%), 아파트(32.0%) 순으로 나타나 단독주택에서 거주하는 고령자 1인 가구가 전국보다 9.3% 높게 나타났다.


충북의 독거노인 경제수준 현황은 2016년 보다 독거노인 13.7% , 수급자 독거 노인 0.9%가 증가하였으나 저소득자 비중은 1.0% 감소하였다. 2020년 충청북도사회지표결과 노인고충문제는 ‘경제적문제’(41.1%), ‘외로움.고독의문제’(28%), ‘건강문제’(13.2%)순으로 나타나 2016년 ‘노인 고충문제’와 비교했을때 ‘외로움, 고독의문제’가 5.9% 대폭 증가하였다.


최근 5년간 전국 노인학대 현황은 2019년 기준 1.1% 증가, 충북은 25.9% 증가하였고, 노인학대 유형별 학대피해노인 가구형태에서는 신체적 학대(39.7%), 정서적 학대(37.4%)가 노인부부가구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반면 방임(37.5%)과 자기방임(78.5%), 유기(46.3%)는 노인단독가구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여 학대피해노인의 가구형태에 따라 학대유형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용인시기흥장애인복지관 조정선수단, ‘제19회 경기도장애인생활체육대회 2025 파주‘ 조정 종목 금메달 쾌거 용인시기흥장애인복지관(관장 김선구)은 제19회 경기도장애인생활체육대회 2025 파주에서 용인시 대표로 조정 종목에 출전하여 지적장애 4인 단체전에서 1위를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번 대회는 9월 12일부터 13일까지 2일간 경기도 파주시에서 개최되었으며, 총 19개의 정식종목 중 본 기관에서는 조정 종목에 3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2023년부터...
  2. 신상진 성남시장, 경기도지적발달장애인복지협회 성남시지부와 간담회 개최 성남시가 중증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들의 어려움을 깊이 이해하고 소통하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신상진 성남시장은 지난 9월3일,경기도지적발달장애인복지협회 성남시지부(이하 협회) 조은숙 지부장과 운영진들을 만나 격의없는 대화를 나눴습니다. 서울의대 출신인 신시장은 의학적 지식과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발달장애 자녀를 키우...
  3. 상대원2동제2복지회관, ICT 기반‘스마트빌리지 프로그램 본격 운영 어르신·아동 대상 맞춤형 디지털 체험 공간 마련성남시 중원구에 위치한 상대원2동제2복지회관(관장 김재성)은 성남시청 스마트도시과의 지원으로 추진되는‘스마트빌리지 보급 및 확산 사업’을 통해 지역 주민을 위한 ICT 기반 맞춤형 돌봄·교육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번 사업을 통해 복지관 내에는 키오...
  4. 위례어울림종합사회복지관, 7개 행정복지센터와 ‘위기가구발굴 및 지역복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 … 위례어울림종합사회복지관(관장 오영희)은 지난 9월 11일 위례어울림종합사회복지관에서 단대동, 신흥1‧2‧3동, 시흥동, 양지동, 위례동행정복지센터와 함께 ‘위기가구발굴 및 지역복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은 지역 내 숨어 있는 위기가구를 조기에 발굴하고, 공공과 민간의 유기적인 협력을...
  5. 강남노인종합복지관, 제26회 사회복지의 날 기념 제6회 강남복지포럼 <강남복지 50년의 발자취, 함께 여는 내일> 강남구사회복지기관협의회는 지난 11일 오후 역삼1문화센터 3층 강남씨어터에서 ‘제26회 사회복지의 날 기념 제6회 강남복지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강남구, 강남복지재단, 현대백화점의 후원으로 진행됐다. 올해는 ‘강남복지 50년의 발자취, 함께 여는 내일’을 주제로, 강남구 개청 50주년을 맞아 반세기동안의 복지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