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동편마을 따듯한 행복나눔 “따숨복(福)도리”
  • 강수진 사회복지사
  • 등록 2022-02-22 19:22:15

기사수정
  • 지역주민이 단지 내 경비원분들을 위한 직접 뜬 목도리와 감사의 마음 전하기




  안양시비산종합사회복지관(관장 류승용)에서는 관양1동에 위치한 동편마을에서 추운날씨에도 마음을 따듯하게 만들어줄 지역주민 캠페인 따숨복()도리활동이 실시하였다. 2022111()부터 210()까지 약 한달간 진행된 이번 캠페인은 동편마을 1~3단지 관리사무소의 협조를 받아 진행되었다.

따숨복도리 활동은 지역주민이 아파트 단지를 위해 추운 겨울에도 힘써주시는 경비원분들을 위해 직접 목도리를 떠서 전달하는 활동이다. 경비원분들을 위한 감사편지와 직접 뜬 목도리로 지역주민의 마음을 전달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동편마을 단지 내 많은 분들이 참여해주신덕분에 동편마을 1~3단지 경비원분들이 모두 따듯한 겨울을 보낼 수 있는 목도리가 완성되었다.

 

  지역주민의 마음을 비산종합사회복지관이 대신 담아, 열정을 다해 근무하고 계시는 경비원분들을 만나 뵙고 감사의 말씀과 목도리를 전달해드렸다.

 


  동편마을 1~3단지 경비원분들을 지역주민이 직접 만들어주신거라구요? 정말 감사드립니다’ , ‘요즘같이 추운 겨울, 든든하게 일할 수 있겠어요! 어때요? 잘 어울리나요?’ 라며 밝은 미소와 함께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유난히 추웠던 올해 겨울, 지역주민의 따듯한 마음과 경비원분들의 열정으로 따듯하게 이겨낼 수 있었다. 앞으로도 비산종합사회복지관은 동편마을과 함께하는 지역주민 활동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용인시기흥장애인복지관 조정선수단, ‘제19회 경기도장애인생활체육대회 2025 파주‘ 조정 종목 금메달 쾌거 용인시기흥장애인복지관(관장 김선구)은 제19회 경기도장애인생활체육대회 2025 파주에서 용인시 대표로 조정 종목에 출전하여 지적장애 4인 단체전에서 1위를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번 대회는 9월 12일부터 13일까지 2일간 경기도 파주시에서 개최되었으며, 총 19개의 정식종목 중 본 기관에서는 조정 종목에 3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2023년부터...
  2. 신상진 성남시장, 경기도지적발달장애인복지협회 성남시지부와 간담회 개최 성남시가 중증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들의 어려움을 깊이 이해하고 소통하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신상진 성남시장은 지난 9월3일,경기도지적발달장애인복지협회 성남시지부(이하 협회) 조은숙 지부장과 운영진들을 만나 격의없는 대화를 나눴습니다. 서울의대 출신인 신시장은 의학적 지식과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발달장애 자녀를 키우...
  3. 상대원2동제2복지회관, ICT 기반‘스마트빌리지 프로그램 본격 운영 어르신·아동 대상 맞춤형 디지털 체험 공간 마련성남시 중원구에 위치한 상대원2동제2복지회관(관장 김재성)은 성남시청 스마트도시과의 지원으로 추진되는‘스마트빌리지 보급 및 확산 사업’을 통해 지역 주민을 위한 ICT 기반 맞춤형 돌봄·교육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번 사업을 통해 복지관 내에는 키오...
  4. 위례어울림종합사회복지관, 7개 행정복지센터와 ‘위기가구발굴 및 지역복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 … 위례어울림종합사회복지관(관장 오영희)은 지난 9월 11일 위례어울림종합사회복지관에서 단대동, 신흥1‧2‧3동, 시흥동, 양지동, 위례동행정복지센터와 함께 ‘위기가구발굴 및 지역복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은 지역 내 숨어 있는 위기가구를 조기에 발굴하고, 공공과 민간의 유기적인 협력을...
  5. 강남노인종합복지관, 제26회 사회복지의 날 기념 제6회 강남복지포럼 <강남복지 50년의 발자취, 함께 여는 내일> 강남구사회복지기관협의회는 지난 11일 오후 역삼1문화센터 3층 강남씨어터에서 ‘제26회 사회복지의 날 기념 제6회 강남복지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강남구, 강남복지재단, 현대백화점의 후원으로 진행됐다. 올해는 ‘강남복지 50년의 발자취, 함께 여는 내일’을 주제로, 강남구 개청 50주년을 맞아 반세기동안의 복지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