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펭귄 날다'를 연재합니다. (1-5 사람의 뇌구조도 바꾸는 ‘권력’)
  • 문현숙 기자
  • 등록 2022-08-25 22:10:48

기사수정

1. 나는 오늘 미투 티셔츠를 입는다.


송문희 저자

전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현 정치평론가 / 전략문화연구센터 객원연구위원



1-5 사람의 뇌구조도 바꾸는 ‘권력’


미투 운동은 단순히 개인의 일탈 행동이나 남녀 성대결이 아니다. ‘여성’과 ‘약자’에 대한 우리 사회 권력 일반의 문제이며 갑질 권력에 착취당하는 을의 폭로이자 비명이다.


사회적 관계에서 권력자가 약자에게 행하는 부당행위나 횡포를 갑질이라 부른다. 최근 미국의 뉴욕타임스는 갑질을 우리말 발음 그대로 영어로 표기한 ‘Gapjil’이란 표현을 사용했다. 그러면서 갑질의 의미에 대해 “중세 시대 영주처럼 부하 직원이나 하도급 업체에 권력을 남용하는 행위”라고 설명했다. 국제적 망신이 아닐 수 없다.


‘갑질’이란 계약 권리상 갑(甲)과 을(乙)의 관계에서 ‘갑’에 어떤 행동을 뜻하는 접미사 ‘질’을 붙여 만든 신조어이다. 한마디로 권력의 우위에 있는 갑이 약자인 을에게 하는 부당 행위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이런 부당한 횡포에 맞서지 못하고 당하는 약자의 자괴감과 굴욕감은 마음 깊숙이 상처로 남아 지속적으로 자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성적으로 갑질의 피해자가 되는 경우엔 극도의 분노와 수치심, 자존감의 상처를 야기한다. 이런 점에서 권력이나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강자가 약자에게 가하는 성폭력은 가장 저급한 형태의 갑질이다.


최근 한 교육부 고위 공무원이 “민중은 개·돼지다”라고 발언해 파면되었다가 강등된 사건이 있었다. 국민들의 공분을 산 이 같은 발언은 특권 의식에서 나온 것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의 ‘땅콩 회항’ 사건이나 동생인 조현민 상무의 막말과 유리컵 폭행 사건, 대기업 간부가 라면이 덜 익었다며 비행기 승무원을 폭행한 사건 등 한국 사회에서 갑질의 사례를 찾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높은 자리가 사람을 변화시키는 것일까?
권력이란 상대방을 자신의 의도대로 움직이도록 만드는 힘이다. 때로 권력자가 되면 달라지는 사람들을 자주 본다.


“힘이 생기더니 사람이 변했어. 그 자리에 가더니 완전히 딴사람이야.”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의 김병수 박사는 권력이 조망수용을 방해하고 그 능력을 떨어뜨린다고 분석한다. ‘조망수용(perspective taking)’이란 다른 사람의 생각, 지식, 감정 등을 상대방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능력이다. 권력을 갖고 있다고 느낄수록 자기 관점 위주로 생각하고 타인의 관점에서는 멀어진다는 말이다.


권력자에게는 뇌의 전두엽 부위에도 변화가 생긴다. 권력은 정서를 처리하고 공감을 이끄는 뇌 전두엽에 영향을 미친다. 약간의 권력만 가져도 타인의 고통을 감지하지 못하고 쉽게 충동적으로 변한다. 체내 호르몬에도 변화가 생긴다. 공격적인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촉진시켜 자신감과 활력을 갖고 과감하게 행동하도록 한다. 권력을 가졌다는 느낌만으로도 쾌락 물질인 도파민이 샘솟듯 분출된다. 이처럼 권력은 자기중심성을 강화시킨다. 성공은 자신 때문이고, 실패는 남 탓이라고 믿게 된다. 김 박사는 권력 중독에 빠지면 뇌 자체가 변하기 때문에 이를 되돌리기란 무척 힘들다고 강조한다.


권력에 취하면 타인과 동료를 괴롭히며 모욕을 더 많이 준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미국 스탠퍼드대 심리학과 필립 짐바르도 교수는 ‘죄수와 간수 실험’에서 간수 역할을 부여받은 실험 참가자의 60%가 권력을 등에 업고 죄수 역할을 부여받은 실험 참가자를 고통스럽게 고문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권력이 공감 능력을 떨어뜨린다’는 것을 증명한 ‘알파벳 E 실험’도 흥미롭다.


연구자가 실험 참가자들을 ‘고권력자’와 ‘저권력자’ 그룹으로 나눈 후 갑자기 자신의 이마에 알파벳 대문자 E를 그려보라고 지시했다. 그 결과 ‘고권력자’ 실험그룹은 33%가, 저권력자 실험그룹은 12%가 자신이 쓰기 편한 방향으로 알파벳 E를 그렸다.


권력을 가지면 상대방의 감정을 헤아리게 하는 거울뉴런이 잘 활성화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거울뉴런’은 타인의 말을 듣거나 표정이나 몸짓을 보면서 그 사람과 같은 감정을 느끼게 하는 신경세포다.


권력에 취하면 오만해지고 타인에 대한 배려심이 적어지는 것은 어찌 보면 인간 본성인지도 모르겠다. 심리학자 로버트슨은 “모든 인간, 특히 권력자들은 자신의 자아가 ‘개’라는 사실을 인정하고 끝없이 조심하고 자신을 길들여야한다”고 말했다.


타인의 권력 갑질을 비판하기에 앞서 나는 내 수중에 있는 권력을 제대로 잘 사용하고 있는지, 나도 권력 중독자가 아닌지 늘 깨어있는 눈으로 돌아볼 필요가 있다. 인간은 맹목적인 권력 추구 욕구만 지닌 것이 아니라 인간으로서의 정의 추구의 욕구 또한 가지고 있는 존재이다. 그리고 선택은 나의 몫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성남시 드림스타트 아동 150명 무료 건강검진 받는다 성남시(시장 신상진)는 드림스타트 사례 관리 대상 아동 150명이 지역 병원의 후원으로 무료 건강검진을 받게 됐다고 24일 밝혔다.  시는 최근 메디피아 메디피움 분당의원(서현동 소재)과 드림스타트 아동 건강검진 후원에 관한 서면 협약을 했다. 올해로 13년째다. 이에 따라 드림스타트 사업 대상 아동 가운데 검진 신청한 초등학생(150명...
  2. 위례어울림종합사회복지관, ‘복지사각지대 고독사 ZERO 지역주민 만나기 캠페인’ 실시 위례어울림종합사회복지관(관장 오영희)은 지난 25일 위례31단지아파트에서 ‘복지사각지대 고독사 ZERO 지역주민 만나기 캠페인’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이웃 간 관심과 참여를 통해 지역 내 고립되고 위험에 처한 위기가구를 조기에 발굴하고, 지역사회에서 고립되지 않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주민들의 인...
  3. 광주시가족센터 '1인가구 병원안심동행'사업 운영 광주시가족센터는 1인가구의 건강한 삶과 정서적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병원안심동행’ 사업을 추진중이다. 이 사업은 병원 진료 시 보호자나 동반인이 없어 어려움을 겪는 1인가구를 대상으로 병원 진료 동행 및 정서적 지지, 행정 안내 등을 제공하는 맞춤형 서비스다.  참여를 원하는 1인가구는 광주시가족센터(070-4706-3619) 또는 ...
  4. 고양시건강가정지원센터, 1인가구 재무·경제 교육 ‘레벨 업!’ 진행 고양시 건강가정지원센터(센터장 성진경)는 KB금융공익재단과 함께 7월 12일, 19일, 26일 3주간 6회기에 걸쳐 청년과 중장년을 위한 재무·경제 교육 ‘레벨 업!’을 실시했다.  센터에서 진행된 1인가구 재무·경제 교육은 청년과 중장년에 맞춘 교육 내용으로 진행되었다.  청년 1인가구 맞춤형 경제·재무 교육 ‘...
  5. 고양시 건강가정지원센터 – 문촌7종합사회복지관, ‘웰빙 노마드’ 은둔가구 발굴 및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체… 고양시건강가정지원센터는 23일(수) 문촌7종합사회복지관과 고양시 관내 은둔 청·중장년 발굴 및 지원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였다. 협약식에는 고양시 건강가정지원센터 성진경 센터장과 문촌7종합사회복지관 윤영 관장을 포함한 양 기관의 관계자 4명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양 기관의 상호 이해와 신뢰를 바탕으로 추진되었으.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