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펭귄 날다'를 연재합니다. (3. 뻔뻔하고 무지한 수컷들)
  • 문현숙 기자
  • 등록 2022-10-28 10:51:22

기사수정

3. 뻔뻔하고 무지한 수컷들


송문희 저자

전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현 정치평론가 / 전략문화연구센터 객원연구위원



3-1 남성 ‘성욕’은 본능이니 이해하라고?


사회 운동가 토니 포터의 책 『맨박스』는 소위 ‘남자다움’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어떻게 남성을 제약하는가를 잘 보여준다. ‘맨박스’는 남자를 둘러싼 고정 관념의 틀을 의미하는데 평범하고 선한 남성일수록 사회가 원하는 ‘맨박스’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남성들은 남자다움을 집단적으로 배워왔다. 터프하고 거친 남성으로 행동할 때 다른 남성들에게 인정받는다. 이것은 여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문화가 여성에 대한 성적 가해조차 ‘남자다움’ 내지 ‘남성적 본능’이란 말로 대수롭지 않게 여겨지는 배경이 되기도 한다.


스탠리 큐브릭의 영화 <시계태엽 오렌지>(1971)에서는 주인공 알렉스와 친구들이 아무런 죄의식 없이 강간을 저지른다. 유명한 시사만화가 박모 씨는 결혼식 주례를 부탁하기 위해 찾아온 예비 신부의 허벅지를 쓰다듬고 치마 아래로 손을 넣었다고 한다. 이유는 “반가워서.”


수잔 브라운밀러는 『Against Our Will』이라는 책에서 강간이 인류 역사에 얼마나 깊게 뿌리내려 있는지 ‘강간 문화’의 실체를 파헤친다. 그녀는 “능동적인 남성-수동적인 여성”이라는 구도에 따라 여성이 남성의 소유물로 전락했으며, “남성 권력이 주도하는 강간 문화”는 전쟁 중에 여성을 상대로 자행되는 강간에서 정점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전쟁은 남성에게 ‘암묵적인 강간 면허를 부여’했으며 1차·2차 세계대전에서 강간은 선전 선동의 도구로 활용됐다”는 것이다. 이처럼 국적이나 인종을 가리지 않고 모든 여성을 대상으로 삼는 남성의 적대 행위가 ‘강간’인 것이다. 수잔은 ‘강간 말하기 대회’를 통해 강간을 ‘드러내 말할 수 있는 범죄’로 만드는 데 앞장섰다.


그러나 현실의 사법 시스템은 강간범에 관대하다. “자신의 의지에 반해 강간당하는 여성은 있을 수 없다”는 근거 없는 말로 문제의 책임을 피해 여성에게 돌린다. 19세기 오노레 드 발자크가 “움직이는 바늘에 실을 꿸 수는 없다”라고 말했던 것이나 “여성들에겐 고통에 대한 욕정이 있다”고 주장한 프로이트의 말과 궤를 같이한다. 남성들이 움켜쥐고 있는 법 제도와 문화, 미디어에 의해 성폭행의 정의는 매우 협소하게 내려지거나 성폭행 자체가 부인된다. 강간이나 성폭행 피해자가 어떤 빌미를 제공하지 않았는지, 정확한 거절의 의사를 밝혔는지, 격렬히 저항했는지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에 대답해야만 한다. 이전에 ‘문란한 성생활’을 하지는 않았는지, 성폭행을 당하지 않도록 ‘충분히’ 주의를 했는지 의심과 비난의 추궁이 더해진다. 아마도 피해 여성이 강도 피해자라면 똑같은 질문을 하진 않을 것이다. 성 문제에 비교적 관대한 처리 관행과 이런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성폭력 사건은 일어나도 쉬쉬하거나 미봉책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반드시 힘이나 폭력을 사용하지 않는 교묘한 강간도 있다. 어떤 강간범은 신체적인 힘을 넘어서는 권력의 우위를 활용한다. 집단 내에서 인기가 있거나 존경받는 남성인 경우, 즉 가해자가 일종의 우상인 경우엔 피해자가 우상의 후광에 함몰되어 자신이 강간 피해자가 되었다는 사실을 너무 늦게 깨닫기도 한다.


그러나 1970년대 미국에서 시작된 급진 페미니즘 운동은 강간을 수치스러워해야 할 문제가 아니라 드러내 말할 수 있는 범죄로 만들었다. 이후 여성들은 자신의 성폭행 피해 경험을 함께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한국마사회 분당지사, 판교종합사회복지관 느린 카페에 ESG실천의 온기를 나누다. 한국마사회 분당지사(지사장 박한규)는 8월 6일(수) 오후 2시, 판교종합사회복지관(관장 이훈)에서 ‘지역사회에 ESG실천 확산을 위한’ 텀블러 세척기를 지원했다. 이번 전달식은 복지관 내 지하 1층에 위치한 장애인 바리스타가 운영하는 느린 카페에서 진행되었으며, 지원금은 총 500만원 규모로 지원됐다. 이번 지원사업으로 구매한...
  2. 성남시, 생활지원사 어르신 매일 안부 확인으로 폭염 속 생명 살렸다 성남시에서는 연일 폭염이 지속되는 가운데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생활지원사의 꾸준한 안부 확인과 신속한 대응으로 어르신(87세, 상대원1동)의 생명을 구조한 사례가 있었다. 폭염특보가 발효된 상황에 따라 8월 3일 오전8시경 해당 어르신과 연결된 임선아 생활지원사는 일일 안부 확인 전화를 시도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 이에 오전 11.
  3. MG성남제일새마을금고와 함께하는 제13회 아동 창의·인성캠프 사단법인 가온나래가 운영하는 산성동복지회관(관장 박주연)은 성남시 다함께돌봄센터 25호점(산성동 어린이식당)을 이용하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8월 6일부터 2박 3일간의 강원도 인제군 일대에서 아동 창의∙인성 캠프 ‘인성 속 상상 더하기’를 진행한다.  올해로 **13회를 맞이한 ‘창의∙인성 캠프’**는 아동들이 자연 속 ...
  4. 북한이탈주민, 급성 호흡곤란 행인 응급처치로 생명 구해 – 청솔종합사회복지관 통해 선행 알려져 경기도의회…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이 8월 4일(월), 청솔종합사회복지관에서 급성 호흡곤란으로 쓰러진 행인을 신속한 응급처치로 구조해 생명을 살린 사실이 알려져 경기도의회의장 표창을 수상했다. 지난 7월 중순, 해당 북한이탈주민은 길에서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진 행인을 목격하고, 즉시 심폐소생술 등 초기 응급처치.
  5. 제3회 용산 장애인 e스포츠 페스티벌, 오는 8월 14일 화려한 개막 예고 구립용산장애인복지관은 오는 2025년 8월 14일(목), 중경고등학교 체육관(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84길 34)에서 「제3회 용산 장애인 e스포츠 페스티벌」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울리며 즐길 수 있는 통합형 e스포츠 대회로, 전국에서 예선을 거쳐 본선에 진출한 선수들이 한자리에 모여 실력을 겨룬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