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평택시 다함께돌봄센터 11호점 개소
  • 박은희 기자
  • 등록 2025-02-11 13:51:58

기사수정
  • 어린이들이 안전하고 행복한 돌봄을 위한 첫 걸음을 내딛다!


평택시(시장 정장선)는 2월 7일 초등돌봄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된 다함께돌봄센터 11호점의 개소식을 개최하며, 지역사회의 어린이들에게 안전하고 질 높은 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지역 내 아동돌봄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평택시는 지난해 12월 경기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대표 이용주)과 위탁협약을 체결하고, 고덕국제신도시내 다함께돌봄센터 11호점을 마련했다. 이날 개소식에는 강정구 시의장을 비롯한 도의원, 시의원, 복지국, 운영법인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경기의료사협은 지역주민과 의료인이 협동하여 건강과 관련한 생활속의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민주적 의료기관, 건강소모임, 지역 건강돌봄을 통해 행복한 공동체를 만들어나가는 보건복지부 인증 사회적협동조합이다. 현재 경기한의원, 장기요양복지센터, 재활주간보호센터와 조합원들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이번 다함께돌봄센터 11호점을 개소함으로써 아동복지사업에도 함께 하게 되었다. 

 

평택시 다함께돌봄센터 11호점은 아동 돌봄의 전문성을 갖춘 센터장 1명과 돌봄 교사 3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정원은 35명이다. 운영시간은 오전 9시~오후 7시, 입소 및 이용관련 자세한 문의는 센터로 직접 문의(070-8648-0662 / 010-6321-1451)하면 된다.

 

앞으로 이곳은 단순한 돌봄 공간을 넘어, 우리 지역사회가 하나 되어 어린이들의 안전한 성장을 지원하는 따뜻한 보금자리로 자리 잡을 것이다. 지역 내 아동 돌봄 문제를 해결하고, 아이들의 신체적 및 정서적 발달을 지원함으로써, 지역 사회의 안전망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성남시 드림스타트 아동 150명 무료 건강검진 받는다 성남시(시장 신상진)는 드림스타트 사례 관리 대상 아동 150명이 지역 병원의 후원으로 무료 건강검진을 받게 됐다고 24일 밝혔다.  시는 최근 메디피아 메디피움 분당의원(서현동 소재)과 드림스타트 아동 건강검진 후원에 관한 서면 협약을 했다. 올해로 13년째다. 이에 따라 드림스타트 사업 대상 아동 가운데 검진 신청한 초등학생(150명...
  2. 한국마사회 분당지사, 판교종합사회복지관 느린 카페에 ESG실천의 온기를 나누다. 한국마사회 분당지사(지사장 박한규)는 8월 6일(수) 오후 2시, 판교종합사회복지관(관장 이훈)에서 ‘지역사회에 ESG실천 확산을 위한’ 텀블러 세척기를 지원했다. 이번 전달식은 복지관 내 지하 1층에 위치한 장애인 바리스타가 운영하는 느린 카페에서 진행되었으며, 지원금은 총 500만원 규모로 지원됐다. 이번 지원사업으로 구매한...
  3. 위례어울림종합사회복지관, ‘복지사각지대 고독사 ZERO 지역주민 만나기 캠페인’ 실시 위례어울림종합사회복지관(관장 오영희)은 지난 25일 위례31단지아파트에서 ‘복지사각지대 고독사 ZERO 지역주민 만나기 캠페인’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이웃 간 관심과 참여를 통해 지역 내 고립되고 위험에 처한 위기가구를 조기에 발굴하고, 지역사회에서 고립되지 않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주민들의 인...
  4. 고양시건강가정지원센터, 1인가구 재무·경제 교육 ‘레벨 업!’ 진행 고양시 건강가정지원센터(센터장 성진경)는 KB금융공익재단과 함께 7월 12일, 19일, 26일 3주간 6회기에 걸쳐 청년과 중장년을 위한 재무·경제 교육 ‘레벨 업!’을 실시했다.  센터에서 진행된 1인가구 재무·경제 교육은 청년과 중장년에 맞춘 교육 내용으로 진행되었다.  청년 1인가구 맞춤형 경제·재무 교육 ‘...
  5. 광주시가족센터 '1인가구 병원안심동행'사업 운영 광주시가족센터는 1인가구의 건강한 삶과 정서적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병원안심동행’ 사업을 추진중이다. 이 사업은 병원 진료 시 보호자나 동반인이 없어 어려움을 겪는 1인가구를 대상으로 병원 진료 동행 및 정서적 지지, 행정 안내 등을 제공하는 맞춤형 서비스다.  참여를 원하는 1인가구는 광주시가족센터(070-4706-3619) 또는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